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|||||
3 | 4 | 5 | 6 | 7 | 8 | 9 |
10 | 11 | 12 | 13 | 14 | 15 | 16 |
17 | 18 | 19 | 20 | 21 | 22 | 23 |
24 | 25 | 26 | 27 | 28 | 29 | 30 |
- utap
- 이야기문법
- 의사소통발달평가
- 맥아더베이츠
- 언어치료일정
- 기능적접근법
- 언어발달시기별치료목표
- 음성학적
- 말소리장애치료원리
- 아동오조음
- KMBCDI
- 언어치료
- 비공식적평가
- 결속표지
- 음운결합
- 언어치료활동
- 언어치료계획서
- 영유아언어발달검사
- 학령기
- 언어발달
- 말소리장애치료목표
- 환경중심법
- U-TAP
- 한국어소리
- 치료사중심
- 언어치료계획
- 음운인식훈련
- 언어평가검사도구
- T-unit
- 절충법
- Today
- Total
인생에 공짜가 없어
조음음운장애) 말소리 발달 정리 본문
1. 말소리 장애(Speech sound disoder)
: 말장애 가운데 발음에 문제가 있는 경우 (유창성장애, 말더듬)
- 구어 의사소통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것
- 사회적 참여에 지장을 주게 됨
1)원인 중심의 분류
(1) 조음장애
: 원인- 운동적, 생리적 차원의 기능
(2) 음운장애
: 원인- 언어적 차원의 프로그래밍
2)증상 중심의 분류
: 원인이 너무 다양하고,
원인을 알 수 없는 말소리 장애도 많아
조음장애와 음운장애를 구별하는 것은 어려움
->말소리 장애로 통칭
2. DSM-5에서의 말소리 장애
: 의사소통장애=언어장애(LD)+말소리장애(SSD)
*신경발달장애 = 자폐, 지적장애, 말소리장애(SSD), 특정학습장애(SLD), ADHD, 운동장애
(1) 신경
: 뇌활성화 발달이 안되어 증상이 나타나게 되는 장애들
(2) 발달장애
: 선천적
3. 말소리 지각 발달
1) 초기 지각 발달
: 생후 2주되는 신생아들의 말소리 지각능력은 빠르게 발달
예) [pa]와 [ba] 와 지각
: 물리적(음향적) 자극 변별은
언어적 인지(말소리 저장)로 발전해야 말소리가 지각되었다고 할 수 있다.
2) 변별능력의 발달
: 소리 차이에 대한 지각 능력=모니터링 능력
* 모니터링 능력의 발달
-외부 모니터링 : 다른 사람의 말소리에서 음소 간의 차이 구별
예) 다른 사람이 말하는 /pa/와 /ba/ 구별하기 시작
-외부-내부 모니터링 : 다른 사랆의 말소리와 자신의 말소리 구별
예) 다른 사람의 /pa/와 자신의 /ba/를 구별하기 시작
-내부 모니터링 : 자기 스스로 말소리에서 음소들을 상호 구별
예) 자신의 /pa/와/ba/를 구별하기 시작
3) 산출 능력의 발달
: 성도의 발달에 따라 말소리 산출이 가능해짐
(13세에 발견된 늑대소년은 조음기관이 발달하여도 말소리 산출을 하지 못함)
(1) 성도의 기능
- 1차 : 씹기, 삼키기, 공기 마시기 등으로 근육발달
- 2차 : 인간의 후두가 낮은 곳에 위치하여 말하기에 적합한 특질 보유
예) 영유아는 성인에 비해 성도와 인두강이 짧아 혀가 앞쪽에 위치하여 /ba, ma/소리부터 냄
유아의 후두와 연인두가 가깝게 위치하여 비음 발성을 쉽게 낼 수 있음
(2) 산출능력의 발달 단계
옹알이 시기 | 0-1세 | 1) 비언어적 발성 : 트림, 딸꾹질 같은 생물학적 소리 울음, 웃음, 신음소리 같은 고정된 음성 신호 2) 말과 비슷한 발성 : 준모음 발성, 원시조음, 확장, 반복 음절성 옹알이, 고정되지 않은 음성신호 |
발성단계 | 0-1개월 | -정상 발성, 불완전 공명, 비음처럼 들림 -준모음 단계: 자음성분이 매울 짧고 모음과 유사한 소리 산출 |
쿠잉단계 (원시조음단계) |
2-3개월 | -비둘기소리처럼 원순후설고설모음 /u/와 유사한 목울림 소리 -연구개자음과 같은 소리 산출 |
확장단계 | 4-6개월 | -이유식 시작: 후두와 구강 조음기관의 조절 능력 향상 -여러 발성 유형 나타남(vocal play) : 물푸레질, 으르렁거림, 비명, 혀굴리는 소리 등 발성이 매우 다양해짐 |
반복적옹알이 (음절성옹알이) |
6개월~ | -의사소통으로 가는 교두보, 완전 공명 -음절성: 바바바, 마마마와 같이 자음과 모음이 잘 배합되어 음절 형태로 반복 (=중첩적 옹알이) 1) 영어권 : cv형태 2) 우리나라: vcv형태(초기 지속 제공되는 엄마, 아빠, 아가 영향) -음절이 말에 가까워지고 성인의 억양과 유사해짐 -옹알이 산출에는 지각 능력 영향이 중요 1) 건청 유아 10개월 내에 반복/음절성 옹알이 산출 반면, 청각장애 유아는 첫돌 내에 거의 관찰 안됨 2) 9~12개월 사이의 말 늦은 아동: 같은 월령의 일반 아동보다 반복적옹알이와 음절성옹알이를 적게 산출 ☞음절성 옹알이의 양과 비중은 이후 말소리 출현과 말언어발달에 중요한 예측인자 |
초기음운발달기 | 1-2세 | 1) 자음목록: 12~13개월= 초성 6~7개 자음 만1~2세= 4~10개 자음목록 ☞ 보호자가 느끼는 것보다 많지 않음. 소리값이 정확하지 않음에도 맥락때문에 잘하는 것으로 느끼는 것 2) 초어=의미가 있는 산출(단순 모방이 아님) |
자음목록 | 조음위치 | 양순음-치경음-연구개음-경구개음-성문음 |
조음방법 | 파열음-비음-파찰음-마찰음-유음 | |
발성유형 | 경음-평음-격음 | |
음절구조 | cv형-v형-vc형-cvc형 : 첫날말시기-50단어 |
|
후기음운발달기 | 2세 후반-6세 | 1) 어휘폭발기 : 통낱말보다 규칙 지배 전략 함께 사용 ☞ 자주 듣는 소리의 패턴을 인식하여 모국어 결합 규칙 인식 예) 모국어에 익숙(적합)하지 않은 소리에 반응 2) 어휘가 급증하여 다양한 말소리 산출 ☞ 어휘가 부족한 아동은 말소리 산출도 적음 (표현언어가 적은 아동은 언어발달도 늦음) 3) 4세에 종성 산출 가능 |
말소리 목록 확장기 |
2세 후반~3세 초반 | |
말소리 정교화기 |
3세 후반~4세 후반 | |
말소리 습득의 안정기 |
5세 전반~6세 | 대부분의 오류 움소도 안정적 발음 가능 |
4. 한국어의 소리
1) 모음
입술의 돌출 여부(원순성) 여부에 따른 분류 |
개구도에 따른 분류 | 혀 협착의 위치에 따른 분류 |
* 성도의 길이를 변화 -원순모음 : 입술이 앞으로 -평순모음 : 입술이 옆으로 |
* 입을 벌린 정도에 따라 혀의 높이가 달라짐 - 개모음(저모음)=혀가 낮은 위치 - 폐모음(고모음)=혀가 높은 위치 - 반개모음(반저모음) - 반페모음(반고모음) |
*성도 전체에서 가장 좁아지는 협착의 위치가 혀를 기준으로 어디인가 -전설 모음 -중설 모음 -후설 모음 |
<한국어 단모음 체계(10개) >
전설모음 | 후설모음 | |||
평순 | 원순 | 원순 | 평순 | |
고모음 | ㅣ | ㅟ | ㅜ | ㅡ |
중모음 | ㅔ | ㅚ | ㅗ | ㅓ |
저모음 | ㅐ | ㅏ |
<한국어 단모음 체계(7개)>
전설모음 | 후설모음 | ||
평순 | 원순 | 평순 | |
고모음 | ㅣ | ㅜ | ㅡ |
중모음 | ㅔ/ㅐ | ㅗ | ㅓ |
저모음 | ㅏ |
(1) 단모음
- 단모음 개수는 학자들의 견해마다 다름 : 7~10개
- /위/ 와 /외/를 단모음으로 인정할지 여부에 따라 구분
-/ㅔ/와 /ㅐ/는 통합되어 하나의 음운으로 존재
(2) 이중모음 : 2개의 조음 동작으로 만들어지는 모음
= 활음과 단모음의 결합
- 활음(glide) : 조음동작의 변화속도가 매우 빨리 나타나는 소리
- 결합방법에 따라
: 상향 이중모음(상승형) : 활음 + 단모음 예) ㅑ, ㅠ
: 하향 이중모음(하강형) : 단모음+ 활음 예) ㅕ, ㅛ
2) 자음 (19개)
- 기류가 구강 통로의 중앙부에서 방해를 받는 소리
(1) 조음위치
- 방해를 받는 위치가 어디냐에 따라
: 양순음, 순치음, 치음, 치경음, 후치경음, 전경구개음(치경구개음), 권설음, 경구개음, 연구개음, 구개수음, 인두음, 성문음
(2) 조음 방법
- 어떤 종류의 방해를 받았느냐
: 폐쇄음(파열음), 비음, 전동음, 탄설음, 마찰음, 설측마찰음, 접근음, 설측접근음, 파찰음
(3) 발성유형
- 방해 받을 때의 성대 상태(진동, 기식성, 긴장성)에 따라
- 성대진동에 따라 : 유성음/무성음 -----우리나라에 없음
- 기식성에 따라 : 유기음/ 무기음
- 긴장성에 따라 : 경음, 연음(평음)
<조음방법과 위치에 따른 자음 구분표>
구분 | [발성유형] -긴장성 |
[전방성] | [설정성] | |||
양순음 | 치경음 | 치경구개음 | 연구개음 | 성문음 | ||
파열음 (폐쇄음) 무성음 |
평음 | ㅂ | ㄷ | ㄱ | ||
경음 | ㅃ | ㄸ | ㄲ | |||
격음 | ㅍ | ㅌ | ㅋ | |||
마찰음 무성음 [지속성] |
평음 | ㅅ | ㅎ | |||
경음 | ㅆ | |||||
파찰음 무성음 [지연개방성] |
평음 | ㅈ | ||||
경음 | ㅉ | |||||
격음 | ㅊ | |||||
비음 유성음 [공명성] |
ㅁ | ㄴ | ㅇ | |||
유음 (설측음) 유성음 [설측성] |
ㄹ |
*한국어 자음은 성대 진동 여부로 소리가 분류되는 것이 아니라 긴장성과 기식성에 의한 분류이다.
*한국어 자음 전체에 있는 성질 : 자음성
*한국어 자음 천에에 없는 성질 : 성절성
5. 한국어의 자음 음운자질 특성
-음운자질 : 말소리를 서로 구별지어주는 특징적인 자질
1) 주요 자음분류 자질
(1) 공명성 : 비음(ㅁㄴㅇ), 자발적인 유성성이 가능한 성도강 형태의 소리 특징
(2) 자음성 : 모든 자음 소리, 성도의 중앙통로에서 심한 협착(거의 들러붙거나 붙을듯 말듯)이 동반되어 만들어지는 소리 특징
(3) 성절성(syllabic) : 단독으로 하나의 음절을 이룰수 있는 소리들이 갖는 특징, 한국 자음에 없음
2) 조음위치 자질
(1) 설정성(coronal) : 치조음(ㅈㅊㅉ, ㅅㅆ, ㄷㅌㄸ), 혓날이 중립위치에서 위로 들리면서(혀가 치조를 건드리는) 만들어지는 소리 특징
(2) 전방성 : 입의 경구개치경부에서 만들어지는 소리 특징
3) 조음방법 자질
(1) 지속성 : 마찰음(ㅅㅆ, ㅎ) 협착이 일어나는 곳에서 기류가 막히지 않고 지속적으로 흐르는 소리들이 갖는 특징
(2) 지연개방성 : 파찰음( ㅈㅉㅊ), 성도에서 폐쇄를 가지고 만들어지는 소리들에만 해당하는 자질로, 개방의 국면이 즉각적으로 일어나지 않고 지연되는 소리
(3) 설측성 : ㄹ, 설정성을 가진 자음들에만 국한되는 자질로, 혀의 측면 통로에서 기류가 빠져나가며 만들어지는 소리
4) 발성유형 자질
(1) 긴장성 : 유성음/무성음, 성대의 긴장을 동반하고 만들어지는 소리
(2) 기식성 : 평음/경음/격음, 두 성대를 멀리 떨어뜨려 성문을 크게 연 상태로 만들어지는 소리들이 갖는 특징
6. 한국어의 모음 음운자질 특성
1) 혓몸과 관련된 자질
(1) 고설성 :ㅣ, ㅜ, 혓몸이 중립보다 들리면서 만들어지는 소리
(2) 저설성 : ㅏ, 혓몸이 중립위치보다 내려지면서
(3) 후설성 : ㅡ, ㅜ, ㅗ, ㅏ, 혓몸이 뒤로 밀리면서
2) 입술과 관련된 자질
(1) 원순성 : ㅜ, ㅗ, w , 입술의 돌출이 동반되면서 만들어지는 소리
7. 한국어의 음절구조
1) 음절유형
: 아래로 내려갈수록 복잡해진다.
1유형 | V | 모음 하나로 이루어진 음절 | /이/ |
2유형 | GV | 활음+ 모음 (이중모음) | /위/ |
3유형 | CV | 자음+모음 | /가/ |
4유형 | VC | 모음+자음 (종성자음) | /알/ |
5유형 | GVC | 활음+모음+자음 | /연/ |
6유형 | CVC | 자음+모음+자음 | /목/ |
7유형 | CGVC | 자음+활음+모음+자음 | /괌/ |
2) 한국어 음절유형
(1) 음절 = 초성+중성(활음, 모음) + 종성
: 음절 구성의 최소 조건 = 성절성을 가진 모음이 존재해야 한다 = 음절핵
(2) 초성우선원리
: 음절핵을 기준으로 초성에 그 언어가 허용하는 한 최대 주변음을 확부한 후,
다음 단계에서는 앞 음절부터 뒤에 연결되지 않고 남아있는 주변음을 취함
즉, 소리는 앞에서부터 붙어나간다
예) 김이 = 기미 (자음+모음 으로 붙으려고 한다)
김도 = 김도 (자음 +자음 이라 붙지 않는다)
*연음화 : 말소리 변화는 있으나 음운변동이 아니라 '초성우선원리' 때문임.
(3) 7종성의 원리
: 한국어 자음에 올 수 있는 자음은 ㄱ, ㄴ, ㄷ, ㄹ, ㅁ, ㅂ, ㅇ 으로 한정
따라서 그 외 자음이 종성으로 오는 경우에는 이 중의 하나로 변화
(4) 초성 및 종성의 소리는 하나(자음군 단순화)
: 초성이나 종성에 자음이 하나만 올 수 있음
예) 닭이 - 달기
맑다 - 막따
맑고 - 말꼬
없지 - 업찌
'언어치료 > 대학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조음음운장애) 말소리 장애의 치료 목표 설정과 치료 원리 및 치료기법 (9) | 2021.12.07 |
---|---|
조음음운장애) 한국어 음운 변동 (0) | 2021.12.05 |
언어발달장애) 음운발달평가에서 역동적 평가(비공식적)가 중요한 이유 (0) | 2021.11.09 |
언어발달 후기- 이야기 표현언어 발달(이야기구조, T-unit, 이야기문법) (0) | 2021.11.01 |
언어발달단계 후기- 대화능력 발달(말차례 주고받기, 참조적 의사소통) (0) | 2021.10.31 |